중국발 신종 변이 출현 우려를 제기하며 입국 문턱을 올린 대표주자는 바로 미국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네드 프라이스 / 미 국무부 대변인 (지난 4일) : 우리가 출국 전 PRC 검사를 요구한 건 중국 내 감염이 만연했을 뿐만 아니라 역학 정보의 투명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.] <br /> <br />중국도 지지 않고 XBB 변이의 진원지로 미국을 지목하며 역공세를 폈습니다. <br /> <br />[마오닝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(지난 4일) : 애초에 미국이 코로나19로 정치적 농간을 부리지 않았다면 오늘날처럼 세계에 감염이 확산하지 않았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그런데 중국은 제일 먼저 한국에 화풀이하면서 정작 미국엔 항공편 정상화를 위한 러브콜을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차이점이 있다면 우리는 단기 비자 발급과 항공편 증편 논의까지 중단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박 진 / 외교부 장관 : 중국이 단기 사증 발급을 전면 중단하는 이런 맞대응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서 상당히 유감스럽게 생각을 합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중국이 일본까지 걸고 넘어지면서 '상응 조치'의 기준이 뭘까 아리송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 중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을 제한하지 않았고 오히려 작년 10월 모두 풀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마쓰노 히로카즈 / 日 관방장관 : 중국이 코로나19 대책과는 다른 이유로 사증 발급 제한을 일방적으로 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습니다.] <br /> <br />이를 두고 한미일 갈라치기 외교다, 강자엔 약한 전형적 특성을 보였다는 등의 뒷말이 무성합니다. <br /> <br />결국 차별적 입국 제한에 맞서 차별적 보복 조치에 나섰다는 얘긴데, UN은 "과학적 방역을 해야 한다"는 중국의 말을 고스란히 되돌려 줬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11301351686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